본문 바로가기
사회복무요원

사회복무요원 예비군 정리

by 짱 연 2023. 5. 14.

army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회복무요원 예비군에 관해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사회복무요원은 현역과 비슷하게 

1~4년차 동미참훈련

5~6년 차 기본훈련과 전, 후반기 작계훈련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현역병이 전역한 경우에는 동원훈련으로 2박 3일 동안 군부대에 들어가 받는 훈련을 의미하지만,

사회복무요원은 동미참훈련으로 부대에 출퇴근하며 4일동안 32시간을 훈련받는 과정입니다.

 

또한 5~6년차에 받는 훈련은 1년에 3회씩 

기본훈련 8시간

전,후반 작계훈련 6시간을 2회 받는 훈련입니다.

 

여기서 이에 해당하는 사회복무요원은 사회복무하는 기간 동안 훈련소에서 3주간 훈련을 수료한 사람들 대상입니다.

그렇기에 정신관련과 같은 이유로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은 동미참훈련과 작계 훈련을 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이유로 훈련을 받지 않는 사람들은 바로 민방위 훈련을 받기 시작합니다.

 

학생예비군에 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학생예비군은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하루 8시간만 교육을 이수하면 2박 3일, 4일 동안 가는 훈련을 받지 않습니다.

따로 대학에서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 모이라는 연락을 받아 군복을 입고 가서 버스를 타고 예비군 훈련장으로 가게 됩니다.

다른 예비군 훈련 글들과 마찬가지로 

총기분해, 총기손질, 사격, 안보교육, 화생방, 수류탄 등 총 8개를 하루동안 마치면 됩니다.

훈련소에서는 k2소총을 사용했지만,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m16소총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복학한 학생이라면 1~5년차 중 절반정도는 훈련을 하루만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휴학생이라면 4일동안 왔다 갔다 하는 훈련을 받아야 한다는 점 참고하세요.

 

마지막으로 사회복무요원들은 군복에 부대마크나 계급장 같은 마크가 없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시겠지만, 

의경분들도 마찬가지로 허전하고 다른 현역병들이 그거에 대해서 시선을 보내지 않으니 안심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