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무지2

사회복무요원 근무지 티어 오늘은 사회복무요원 근무지 티어별 헬 난이도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일단 티어표를 먼저 적고 나서 제가 주변에서 들어본, 그리고 제가 겪은 내용들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사실인지까지 한번 적어보겠습니다. 이렇게 다른 사이트들에서도 티어를 나눈다고 합니다. 여기서 모든 기관과 시설마다 다르고, 사람들이 느끼는 정도는 물론 다르기 때문에 몇 가지 케이스들을 한번 설명해 보겠습니다. 기차역 공익: 여기에 없는 기차역 관련 공익은 제가 교육을 받으러 갔을 때 들은 내용으로, 공익 3명을 데리고 하루 9~6 스케줄에 맞춰 모든 기차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매 시간마다 체크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게 여간 쉬운 일이 아닌 것이, 지정된 자리에서 일하는 것과 다르게 기차역 특성상 넓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 2023. 5. 17.
공익(사회복무요원) 스택별 신청 팁 보충역 판정을 받고 난 후, 11월쯤에 병무청에서 카톡으로 연락이 하나 오게 됩니다. 대충 11월은 재학생입영원, 12월은 본인선택으로 가는 방법으로 나뉘는데, 둘 다 별반 차이가 없으니 한 번에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재학생입영원, 본인선택 저는 대학생이어서 그런진 몰라도 일단 11월에 연락이 왔습니다. 대충 11월 중순 넘으면 연락이 옵니다. 이걸 보시는 분이라면 주로 20살에 처음으로 근무지를 선택하려고 보실 것 같은데, 사실 20살에 바로 공익으로 빠지기는 정말 힘듭니다. 특히나 자기 지역이 소도시라면 더욱 가기 힘들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근무할 기관들은 정해져 있는데, 매년 보충역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데다가 그 보충역들이 매년 다 배치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매년 몇 퍼센트씩 미뤄지는 사람들.. 2023. 5. 1.